3D프린터 지식재산권 있다. 없다.

SLA방식 3D프린터 나도 만들어 볼까?
FDM방식 3D프린터가 3D프린터의 대중화에 기여하고 있다면, 그 다음으로 많은 관심이 가는 것이 SLA방식 3D프린터이다. SLA란 Stereolithography의약어로 광경화 적층 방식 중 하나이다. 레이저빔에 반응하는 광경화 성액상수지(Photo-curable resin)를 경화시켜 조형하는 방식으로, SLA 방식프린터는 산업용 3D프린터로 분류된다. SLA방식의 조형물은 FDM방식의 조형물보다 훨씬정교하다.

SLA 방식 3D 프린터의 프린터의 원리 (출처 : GoogleGoogle )


 SLA방식 3D프린터관련 특허 침해 소송 내용과 속속들이 만료되고 있는 SLA방식 특허에 대해서 살펴보고자한다.

1. SLA방식 특허 침해 소송(3D Systems v. Formlabs and Kickstarter)

SLA방식 원천 특허도 속속 권리기간이 만료되고 있는 가운데, 2012년11월20일 3D Systems는 SLA 방식 3D프린터인 Form 1을 제조 및 판매하는 Formlabs을 상대로 South CarolinaDistrict Court에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특이한 것은 Form1 판매를 위해 사용된 fund raiser인 Kickstarter를     기여침해 주장하며 피고로 한 점이다.

Formlabs는 2011년 MITMedia Lab 출신 졸업생들이 모여 시작한 3D프린터회사로, Form 13D프린터는 개인용 SLA방식 3D프린터이다. Formlabs는 Kickstarter에서$2 million이상의 펀딩을 받았고, Form 1 3D프린터는 $2,299에서 팔리기 시작해서 $2,999에 팔렸다.

Form 1 3D프린터 ( 출처 : GoogleGoogle )

이 특허 침해 소송에 사용된 특허는 1997년1월28일에 등록된 미국특 허5,597,520이다. ‘520특허의   제목은 “Simultaneous multiple layer curing in stereolithography”으로, 상승자극(synergisticstimulation)에 반응하여 물리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특정 물질로 3차원 물체의 단면층을 형성하고 광조형 방식을 이용하여 3차원 물체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특허이다.

5,597,520 특허 ( 출처 : 미국특허청 )

‘520특허의 대표 청구항은 다음과 같다.

1. An improved method of stereolithographicallyform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by forming crosssectional layers of said object from a material capable of physical transformation upon exposure to synergistic stimulation comprising the steps of receiving data descriptive of said cross-sectional layers, forming said cross-sectional layers by selectively exposing said material to said synergistic stimulation according to said data descriptive of said cross-sectional layers to build up the three-dimensional object layer-by-layer, the improvement comprising the steps of:

modifying data descriptive of at least a portion of at least one cross-sectional layer by copying said data from a first cross-section to a second cross-section; and

using said modified data in forming said three-dimensional object.

3DSystems는 Formlabs가 해당 특허 기술을 알고 있으면서 침해를 한 것이라고 주장하였으나, Formlabs는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 그리고 양측은 계속해서 답변 시간 연장(time extension)을합의하에 제출하였다. 40여개 이상의 회사를 인수 합병한 3D Systems였기 때문에 합의뿐 아니라   3D Systems에 의한 인수 합병까지 예측하고 있었다. 특히 업계에서는 2013년11월8일에 제출된     3D Systems의 자진기각(voluntary dismissal)을 보고 합의가 곧 발표될 것이라 예상했다.

그러나, 예상을 뒤엎고 3D Systems는 Formlabs을 상대로 2013년11월8일Southern District of New York에 새로운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하였다. 이번에는 Kickstarter를 피고에서 제외하였고, ‘520특허의 침해를 주장하지 않았다. 그리고 변호인도 모두바꾸고, 새로운 특허 8건에 대한 침해 주장을하였다. 새로운 침해 주장에 사용된 8건 특허는 다음과 같다.

출처 : 3D Systems 측 소장 (Complaint)

2014년6월2일까지도 양측은 법정에서 주장과 답변을 계속 하고있다. SLA방식 특허 침해에 대해 법원은 양사에서 제시한 증거에 입증해서 판결을 내리겠지만, 그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참고로 3D Systems가 처음으로 특허침해 주장에 사용했던 ‘520특허는 2014년4월25일로 특허권보호기간이 만료되었다.


2. 특허권이 만료된 SLA방식 주요특허
SLA방식은 FDM방식 보다 정밀한 조형물을 제작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의료, 쥬얼리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 가능한 기술이다. 따라서 특허권이 만료된 SLA방식 기술에 대해 연구를 하여 SLA방식    3D프린터를 제작 하는데 참고를 하면 좋을 것 같다. 최근에는 개인들도 SLA방식 3D프린터를 개발하고 있는데, 이에 도움을 주고자 특허권이 만료된 SLA방식 특허들을 소개하겠다.

SLA 방식 3D프린터 프린터 및 조형물 ( 출처 : GoogleGoogle )

최근까지 만료된 SLA방식 주요 특허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3D Systems가 Formlabs를 대상으로 특허침해 소송을 시작한 것은 Form 1  3D프린터가 SLA방식이며 3D Systems의 잠재적 경쟁 상대로 여겨서일까? 아마도 Formlabs가 Kickstarter의 크라우드펀딩을 이용해 성공적으로 Form 1을 런칭하였고, 공개 소스프로그램이 아닌 전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있기 때문인 듯하다.

3D Systems에서 2차 특허침해 주장에 사용한 특허 8건은 SLA방식 3D프린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술로 판단되므로, 판결 결과에 따라 3D프린터 제조업체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SLA방식 3D프린터를 자체 제조하는 업체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산업용 3D프린터의 대표격인 SLA방식 3D프린터는 분명 국내에서도 개발이 필요한 분야다. 이미 만료된 SLA기술특허 및 조만간 만료 예정인 SLA기술의 특허를 면밀히 분석하여 국내에서도 해외제품 못지 않은 SLA방식 3D프린터가 등장 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물론, 아직 특허권 보호중인 SLA방식 특허가 다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특허 분석을 통해 우회         회피전략을 함께 준비하고, 자체 개발 제품에 대한 개량 특허를 출원함으로써 미래에 발생할지 모르는특허 분쟁에 미리 대비를 한다면 SLA방식 3D프린터 개발도 부정적이지 않다고 본다.

(주) 쓰리디아이템즈 이소영 미국변호사/ CLO  기고문

List

댓글

secret
  • 뉴스페이지 우측 상단배너

신제품 핫이슈

이전으로 가기다음으로 가기